볼로냐 라가치 상 수상 작가 강경수의 창작 그림책. 거미줄에 걸린 무당벌레와 그 무당벌레를 구할지 말지 고민하는 곰의 대화가 팽팽하게 맞서며 흥미를 끄는 이야기. 거미, 무당벌레, 곰 가운데 누구의 입장에서 이야기를 읽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주제를 전한다. 반복-점층-반전으로 짜인 구조, 영화적인 화면 구성이 색다르다. 이 작품은 작가 특유의 유머 속에 인간 속성에 대한 성찰을 담은 한 편의 희극이자 창작 우화이다. 가정이나 학교에서 여럿이 함
*이 오디오북은 시집의 일부만 녹음되어 있으며, 녹음된 낭송시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디오북 낭송시 목록]
1. 베누스 푸디카
2. 녹
3. 고요한 싸움
4. 음악에 부침
5. 당신이 물고기로 잠든 밤
6. 침대3
7. 그애가 저녁에 하는 행동
8. 하층민
9. 검은 짐승들
10. 발등에 내리는 눈
창비시선 410권. 2004년 중앙신인문학상에 당선되어 등단한 이후 젊은 시단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쳐온 박연준 시인의
금희 작가의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 수록작. 중국 장춘에 머물며 한국과 중국에서 작품을 발표하고 있는 조선족 작가 금희(본명 김금희)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을 선보인다. 금희는 2013년 소설집 『슈뢰딩거의 상자』(료녕민족출판사)를 중국에서 출간한 뒤 2014년 봄, 계간 『창작과비평』에 조선족 사회의 탈북 여성 이야기를 다룬 단편 「옥화」를 발표하며 한국 문단에 신선한 활력을 불러일으켰다
금희 작가의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 수록작. 중국 장춘에 머물며 한국과 중국에서 작품을 발표하고 있는 조선족 작가 금희(본명 김금희)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을 선보인다. 금희는 2013년 소설집 『슈뢰딩거의 상자』(료녕민족출판사)를 중국에서 출간한 뒤 2014년 봄, 계간 『창작과비평』에 조선족 사회의 탈북 여성 이야기를 다룬 단편 「옥화」를 발표하며 한국 문단에 신선한 활력을 불러일으켰다
금희 작가의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 수록작. 중국 장춘에 머물며 한국과 중국에서 작품을 발표하고 있는 조선족 작가 금희(본명 김금희)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을 선보인다. 금희는 2013년 소설집 『슈뢰딩거의 상자』(료녕민족출판사)를 중국에서 출간한 뒤 2014년 봄, 계간 『창작과비평』에 조선족 사회의 탈북 여성 이야기를 다룬 단편 「옥화」를 발표하며 한국 문단에 신선한 활력을 불러일으켰다
금희 작가의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 수록작. 중국 장춘에 머물며 한국과 중국에서 작품을 발표하고 있는 조선족 작가 금희(본명 김금희)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을 선보인다. 금희는 2013년 소설집 『슈뢰딩거의 상자』(료녕민족출판사)를 중국에서 출간한 뒤 2014년 봄, 계간 『창작과비평』에 조선족 사회의 탈북 여성 이야기를 다룬 단편 「옥화」를 발표하며 한국 문단에 신선한 활력을 불러일으켰다
금희 작가의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 수록작. 중국 장춘에 머물며 한국과 중국에서 작품을 발표하고 있는 조선족 작가 금희(본명 김금희)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을 선보인다. 금희는 2013년 소설집 『슈뢰딩거의 상자』(료녕민족출판사)를 중국에서 출간한 뒤 2014년 봄, 계간 『창작과비평』에 조선족 사회의 탈북 여성 이야기를 다룬 단편 「옥화」를 발표하며 한국 문단에 신선한 활력을 불러일으켰다
금희 작가의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 수록작. 중국 장춘에 머물며 한국과 중국에서 작품을 발표하고 있는 조선족 작가 금희(본명 김금희)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을 선보인다. 금희는 2013년 소설집 『슈뢰딩거의 상자』(료녕민족출판사)를 중국에서 출간한 뒤 2014년 봄, 계간 『창작과비평』에 조선족 사회의 탈북 여성 이야기를 다룬 단편 「옥화」를 발표하며 한국 문단에 신선한 활력을 불러일으켰다
금희 작가의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 표제작. 중국 장춘에 머물며 한국과 중국에서 작품을 발표하고 있는 조선족 작가 금희(본명 김금희)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을 선보인다. 금희는 2013년 소설집 『슈뢰딩거의 상자』(료녕민족출판사)를 중국에서 출간한 뒤 2014년 봄, 계간 『창작과비평』에 조선족 사회의 탈북 여성 이야기를 다룬 단편 「옥화」를 발표하며 한국 문단에 신선한 활력을 불러일으켰다
중국 장춘에 머물며 한국과 중국에서 작품을 발표하고 있는 조선족 작가 금희(본명 김금희)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소설집 『세상에 없는 나의 집』을 선보인다. 금희는 2013년 소설집 『슈뢰딩거의 상자』(료녕민족출판사)를 중국에서 출간한 뒤 2014년 봄, 계간 『창작과비평』에 조선족 사회의 탈북 여성 이야기를 다룬 단편 「옥화」를 발표하며 한국 문단에 신선한 활력을 불러일으켰다. 현실을 뚫고 나가는 박력있는 서사와 섬세한 심리묘사
*이 오디오북은 시집의 일부만 녹음되어 있으며, 녹음된 낭송시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디오북 낭송시 목록]
1. 내가 태어나기 전에
2. 밤과 낮
3. 치료탑
4. 질의응답
5. 천국
6. 온
7. 9월
8. 빛의 역할
9. 파고
10. 시집
창비시선 408권. 201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뒤 활발한 작품활동을 펼쳐온 안미옥 시인의 첫 시집이다. 등단작 「식탁에서」와 「나의 고아원」
*이 오디오북은 시집의 일부만 녹음되어 있으며, 녹음된 낭송시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디오북 낭송시 목록]
1. 정릉동 동방주택에서 길음시장까지
2. 찔레꽃은 피고
3. 다시 느티나무가
4. 쓰러진 것들을 위하여
5. 초원
6. 역전 사진관집 이층
7. 별
8. 당당히 빈손을
'창비시선' 370권. 문단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올곧은 원로로서 익숙하고 친근한 이름 석자만으로도 든든한 버팀목으로
*이 오디오북은 시집의 일부만 녹음되어 있으며, 녹음된 낭송시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디오북 낭송시 목록]
1. 작가 인삿말
2. 낮아지는 저녁
3. 사랑의 둘레
4. 내가 장미라고 불렀던 것은
5. 우리 처럼 낯선
6. 침묵 비정
7. 촛불 미사
8. 서쪽으로 다섯 걸음
9. 시인의 말
'창비시선' 375권. 전동균의 네번째 시집. <거룩한 허기> 이후 6년 만에 펴내는 이 시집에서 시인은
*이 오디오북은 시집의 일부만 녹음되어 있으며, 녹음된 낭송시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디오북 낭송시 목록]
1. 저글링
2. 생활이라는 생각
3. 덩어리
4. 일생 일대의 상상
5. 고통의 역사
6. 작가 소개의 말
창비시선 392권. 생동하는 몸의 세계를 꿰뚫는 투명하고 냉철한 현상학적 시선과 다채롭고 흥미로운 이미지로 독특한 시세계를 펼쳐온 이현승 시인의 세번째 시집. <친애하는 사물들> 이후
*이 오디오북은 시집의 일부만 녹음되어 있으며, 녹음된 낭송시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디오북 낭송시 목록]
1. 평화롭게
2. 십이월
3. 가을은 이렇게 온다
4. 고맙다 응식아
5. 상밥집에서
6. 찬 김정남 선생
7. 호야네 말
8. 2호선
9. 삶
10. 상행
11. 찬샘
12. 시인의 말
'창비시선' 373권. 맑고 투명한 서정 속에서 더욱 빛나는 강인한 시정신으로 한국 현대사와